6·25전쟁은 한반도의 운명을 바꾼 비극적 사건이었지만, 동시에 전 세계가 연대한 역사적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당시 한국을 지킨 유엔군 참전국 22개국의 희생은 지금 우리가 자유와 번영을 누리는 밑거름이 되었죠.
2025년 현재, 전쟁의 상흔은 희미해졌지만 그들의 헌신을 기억하는 일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오늘은 유엔군 참전을 다룬 다큐멘터리와 함께 그들의 이야기, 그리고 지금 우리가 느껴야 할 의미를 되짚어보겠습니다.
왜 유엔군이 참전했을까?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이 기습 남침하며 한국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이 소식은 단숨에 전 세계로 전해졌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긴급 결의를 통해 회원국의 군사 지원을 승인했습니다.
그 결과, 미군을 포함한 22개국이 참전하여 40만 명 이상이 파병되었고, 약 15만 명 이상의 전사·부상·실종이라는 큰 희생이 있었습니다.
참전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투부대 파병국: 미국, 영국, 캐나다, 터키, 호주, 프랑스, 필리핀, 네덜란드, 태국, 그리스, 벨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 의료지원국: 스웨덴, 덴마크, 인도, 노르웨이, 이탈리아
유엔군은 단순한 군사적 개입이 아니라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한 국제 연대’의 상징이었습니다.
당시 한국을 몰랐던 병사들도 “인류 보편의 자유를 위해 싸운다”라는 사명감으로 한반도 땅을 밟았습니다.
유엔군 참전 다큐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
유엔군 참전을 다룬 다큐멘터리는 단순한 기록을 넘어,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과 감정을 담은 역사교육 자료입니다.
1. 생생한 참전국 병사들의 증언
- 미국, 영국, 터키, 호주 등 참전국 참전용사 인터뷰
- “우리는 한국을 몰랐지만, 자유를 위해 싸웠다”라는 감동적인 메시지
- 타지에서의 고독과 두려움, 그리고 전우애
2. 낯선 나라에서의 고통과 희생
- 풍토병과 열악한 군수 지원, 혹한의 겨울 전투
- 학도병과 유엔군이 함께 지킨 낙동강 방어선, 인천상륙작전의 성공
- 미 해병대와 학도의용군이 함께 싸운 ‘장진호 전투’의 비극
3. 전쟁 이후의 한국과 참전용사 재방문
- 폐허였던 한국이 어떻게 세계적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는지
- 수십 년 만에 다시 한국을 찾은 참전용사가 “우리가 지킨 땅이 이렇게 변했구나”라며 눈물 흘리는 장면
추천 다큐멘터리 3선
1. 《기억의 땅, 유엔묘지》 (KBS)
- 부산 유엔기념공원과 참전국별 기록영상, 생존용사 증언을 다룬 다큐
- 전쟁으로 희생된 이름 없는 병사들의 이야기를 담담히 전함
- 유튜브에서 무료 시청 가능 → 바로보기 링크
2. 《코리아: 포가튼 워(The Forgotten War)》
The Forgotten War - 검색 동영상
부적절한 콘텐츠 보고 아래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십시오.
www.bing.com
3. 《The Korean War in Colour》
- 흑백자료를 컬러로 복원, 전투 장면과 병사들의 표정이 생생하게 되살아남
- 유엔군 상륙작전·서울수복 장면을 몰입감 있게 재현
- 유튜브 다큐 채널에서 무료 시청 가능 → 유튜브 바로보기 링크
참전국별 스토리 더 깊게 보기
🇺🇸 미국
- 미 제24보병사단과 제1해병사단이 낙동강 방어선과 인천상륙작전에 결정적 역할
- 한 미군 병사는 “집에는 못 돌아갈지도 모르지만, 이 땅의 자유를 지켜야 했다”고 말함
🇹🇷 터키
- 혹서·혹한 속에서도 강인한 전투력 발휘
- 한국 민간인과 깊은 유대, 지금도 이어지는 한국-터키 우정의 시작
🇦🇺 호주
- 낙동강 방어선 구축과 인천상륙작전 지원
- 한국과 호주의 외교·군사 협력 관계가 이때부터 형성
🇬🇧 영국·🇨🇦 캐나다·🇫🇷 프랑스·🇧🇪 벨기에
- 다양한 전술과 병영 문화를 한국에 도입
- 다국적 연합작전의 새로운 모델 제시
다큐를 보면 알 수 있는 것
- 자유의 가치는 결코 공짜가 아니었다
- 한국전쟁은 단순한 내전이 아니라 세계 냉전사 속의 중요한 분쟁이었다
- 오늘날 우리가 당연히 누리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이 얼마나 귀중한 희생 위에 세워졌는지
유엔군 참전의 의미 (2025년 관점)
- 국제연대의 상징
- 한국전쟁은 냉전 초기 유엔이 집단안보를 실현한 첫 사례
- 한·참전국 외교의 뿌리
- 참전국과 한국은 지금까지도 특별한 외교·군사협력 관계 유지
- 평화의 가치 재조명
- 여전히 한반도는 분단 상태 → 과거를 기억하며 평화를 지켜야 함
관련 행사 & 방문지
- 부산 유엔기념공원
- 세계 유일의 UN군 전용 묘역, 매년 11월 11일 ‘턴투워드 부산’ 추모식 개최
- 유엔평화기념관 (부산 남구)
- 참전국별 자료 전시, VR 체험 가능
- 서울 전쟁기념관
- 한국전쟁·유엔군 참전관 전시, 청소년 역사교육 프로그램 운영
다큐 감상 꿀팁
- 가족과 함께 시청하며 세대 간 역사교육 가능
- 학생이라면 역사 보고서·토론 주제로 활용하기 좋음
- 참전국 출신 친구·지인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할 기회로
오늘날의 메시지
유엔군 참전 다큐멘터리는 단순한 전쟁기록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자유와 평화를 위해 희생한 이들의 이름 없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휴가철 가볍게 즐기는 오락물도 좋지만, 한 편의 다큐를 통해 우리의 오늘을 가능케 한 과거를 되새겨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