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들어오는 아동수당 10만 원, 1년 동안 모아서 ETF에 투자했다면 결과는 어땠을까요?
2024년 초 투자해 2024년 말까지 운용한 가상의 시뮬레이션을 해봤습니다.
1. 아동수당 1년 적립금 규모
- 월 지급액: 10만 원
- 기간: 12개월
- 총액: 120만 원
2023년 동안 아동수당을 모아 2024년 1월에 ETF에 투자했다고 가정합니다.
2. 투자 가정과 포트폴리오
- 투자 시점: 2024년 1월
- 투자 기간: 2024년 1월 ~ 2024년 12월 (12개월)
- 투자 비중: 주식형 ETF 50%, 채권형 ETF 50%
- ETF 선택:
- TIGER 미국S&P500 (2024년 수익률 약 +9.2%)
- KODEX 미국채10년선물(H) (2024년 수익률 약 +3.0%)
3. 2024년 ETF 수익률 반영 시뮬레이션
주식형 ETF
- 투자금: 60만 원
- 연 수익률: +9.2%
- 1년 후 금액: 약 65.5만 원
채권형 ETF
- 투자금: 60만 원
- 연 수익률: +3.0%
- 1년 후 금액: 약 61.8만 원
4. 예상 계좌 변화
구분 | 투자금 | 1년 후 금액 | 수익 |
S&P500 ETF | 600,000원 | 655,200원 | +55,200원 |
美10년채 ETF | 600,000원 | 618,000원 | +18,000원 |
합계 | 1,200,000원 | 1,273,200원 | +73,200원 |
➡ 2024년 한 해 동안 약 +6.1% 수익률을 기록한 셈입니다.
5. 장기 투자 시 자산 증가 가능성
💡 같은 방식으로 매년 아동수당(연 120만 원)을 10년간 투자한다면?
- 연평균 수익률 가정: 6%
- 10년 후 총액: 약 1,640만 원
- 원금 대비 수익: 약 440만 원 증가
➡ 생활비로 쓰면 사라질 돈이지만, 복리로 굴리면 아이의 대학 등록금 일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6. 결론과 조언
- 아동수당은 작지만 꾸준히 들어오는 ‘씨드머니’입니다.
- 1년 단위로 모아 ETF에 넣으면, 단순 저축보다 수익률이 높습니다.
- 장기 복리 효과를 누리려면 주식·채권 비율 조정과 정기 리밸런싱이 필요합니다.
- 변동성을 감당하기 어렵다면 채권·배당형 ETF 비중을 늘리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육아맘 정보노트 > 받을 수 있는 육아 지원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수당 30만 원 받는 법 + 적립식 투자 전략 | 2025 최신 복지 활용법 (0) | 2025.08.14 |
---|---|
육아휴직 급여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7가지 (0) | 2025.08.13 |
작년 6월 육아 휴직 시작, 얼마나 손해일까? | 2025 급여 인상 비교·재테크 시뮬레이션 (0) | 2025.08.12 |
2025 육아휴직 급여 최대한 많이 받는 법 + 재테크 굴리기 (최신 제도·실전 전략) (0) | 2025.08.11 |
아동수당 지급일 변경 제대로 알기 – 꼭 알아야 할 핵심 요약 (0) | 2025.08.10 |
부모님들 주목! 양육수당 신청, 이 글 하나면 끝납니다 (2025 최신 완전정복 가이드) (0) | 2025.08.09 |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받는 방법과 결제 시스템 총정리 | 맞벌이 가정, 연장반 선택까지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