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에는 “최대금리!”만 크게 보이죠.
그런데 막상 가입해 보면 우대조건을 못 지켜 금리가 깎이거나, 급하게 돈이 필요해 중도해지로 이자 반토막 나기도 합니다.
아래 6가지만 체크하면, 이번 달부터는 내가 실제로 받는 금리로 똑똑하게 고를 수 있어요.
1) 목적·기간·유동성부터 정하기
“이 돈, 언제 쓸 건가요?”가 첫 질문입니다.
- 3~12개월 안 쓸 확실한 돈 → 정기예금
- 월급에서 매달 모을 돈 → 정기적금(정액/자유적립)
- 비상금(언제든 꺼낼 돈) → 파킹형 수시입출금/단기 예금
- 쓰는 날이 정해진 돈(등록금·전세보증금) → 만기일을 그 날짜에 맞추기
한 줄 규칙: 목적 날짜 → 그 날짜에 가장 가까운 만기.
아직 뱅크샐러드 안쓰세요?"
500만명이상이 선택한 뱅크샐러드,
국내 최다 1400여개 금융 상품 비교부터 비대면 건강 검사까지 한 곳에서 관리하세요.
뱅크샐러드 - Google Play 앱
대환대출 · 신용대출 · 주택담보대출 · 자동차보험 · 카드 캐시백 · 가계부 · 무료 건강 검사. 금융을 넘어 건강 자산까지 뱅크샐러드
play.google.com
2) “최대금리” 말고 내 실금리 보기
표에 적힌 기본금리 + 우대금리 중, 내가 지킬 수 있는 우대만 계산!
- 우대조건: 급여이체/카드사용/자동이체/앱 로그인/신규고객 등.
- 복리 vs 단리: 적금은 월월 복리효과가 크고, 예금은 대개 만기일시 지급이라 체감이 단리 같아요.
- 단계금리/만기별 가산도 확인(예: 6개월 < 12개월 금리).
체크 문장: “제가 실제 받을 금리로 계산하면 몇 %인가요? 우대 몇 개 충족해야 하나요?”
3) 중도해지·부분해지·자동재예치 규칙
급전이 필요할 수도 있죠. 꺼내는 규칙이 이자를 가릅니다.
- 중도해지: 보통 중도해지율이 적용돼 금리 크게 하락
- 부분해지: 일부 상품은 일부만 인출 가능(유연성↑)
- 자동재예치: 만기 놓쳐도 자동 연장되지만, 재예치 시점 금리로 다시 책정
체크 문장: “중도/부분해지 시 금리는? 자동재예치 ON 시 금리는 재예치일 기준인가요?”
4) 세금 15.4%와 비과세종합저축
- 이자소득세 15.4%(국세+지방세) 기본 적용
- 비과세종합저축 대상이면 이자 비과세(조건 충족 시) → 자격 여부 문의 필수
체크 문장: “제가 비과세종합저축 대상인지 확인해주세요.”
5) 예금자보호 한도 (안전벨트)
- 2025년 9월 1일부턴 예금자 1인당·1금융회사 기준 원금+이자 합산 1억 원까지 보호됩니다. 시행 전(8월 31일까지)은 5천만 원이 적용돼요.
- 은행·저축은행·보험·금융투자 등 예보 대상 금융회사 전반에 적용되며, 회사별로 각각 한도가 적용됩니다(분산 예치 시 한도도 분산).
체크 문장: “이 상품 예금자보호 되나요? 제 돈은 언제부터 1억 원 한도가 적용되죠?”
참고: 주요 시중은행·증권사들도 9/1부터 1억 원 상향을 공지 중입니다(별도 신청 없음, 자동 적용)
6) 수수료·편의성(숨은 비용)
- 이체/ATM 면제 조건(급여이체 등) 못 지키면 실수익 ↓
- 앱 사용성/알림/자동이체 편한지
- 적금은 자유적립/추가납입 가능 여부
체크 문장: “수수료 면제 조건과 앱 알림/자동이체 설정 방법도 알려주세요.”
바로 고르는 길잡이 (상황별 추천)
상황 | 추천 통장 |
비상금, 언제 쓸지 모름 | 파킹형 수시입출금/단기 예금 |
6~12개월 확실히 묶을 수 있음 | 정기예금 |
월급에서 꾸준히 모으기 | 정기적금(정액/자유적립) |
쓸 날짜가 딱 정해짐 | 그 날짜와 딱 맞는 만기 상품 |
상담·앱에서 그대로 쓰는 한 문장
- “최대금리 말고, 제가 실제로 받을 금리 기준으로 알려주세요. 우대조건 몇 개 채워야 하나요?”
- “중도/부분해지 시 금리는 얼마인가요? 자동재예치 설정하면 금리는 재예치일 기준인가요?”
- “저 비과세종합저축 대상인지 확인 부탁드려요.”
- “예금자보호 적용되고, 한도는 (8/31까진 5천만, 9/1부터 1억) 맞죠?”
마무리
- 언제 쓸 돈인지 먼저 정한다.
- “최대금리”가 아니라 내가 받을 금리(우대 충족 가능성)로 본다.
- 중도·만기 규칙, 세금, 예보 한도(9/1부터 1억)만 더 체크하면 실수 없다.
오늘 5분만 투자해서 실금리와 만기를 맞추면, 광고보다 내 통장이 든든해집니다.
다음 달 월급날에는 더 고민 없이, 내 돈의 목적에 딱 맞는 통장을 고르세요.
'부자 되는 재테크 전략 > 부동산 & 절세 전략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사기 전, 꼭 피해야 할 함정 5가지 (2025 최신) (0) | 2025.08.28 |
---|---|
나는 이렇게 오피스텔 팔고 아파트 샀다 (워킹맘 투자 리얼 스토리) (0) | 2025.08.27 |
아파트 vs 오피스텔, 워킹맘의 투자 선택 (5년 뒤 손익 비교 완전정리) (0) | 2025.08.26 |
1가구 1주택 양도세 완전정복: 12억 비과세·고가주택 계산 한 번에 (0) | 2025.08.25 |
모르면 못 받는 할인: 육아휴직 때 보험료 확 줄이는 법 (0) | 2025.08.22 |
양도세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 ‘이 7가지만’ 하면 끝 (0) | 2025.08.21 |
주택청약 가점 계산 전 꼭 알아야 할 6가지 (2025 최신, 쉬운 설명) (0) | 2025.08.18 |
청약 가점 폭발! 육아맘 주택청약 전략 (2025년 최신판 + 가점 계산표) (0) | 2025.08.17 |